장수말벌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말벌입니다. 영어로는 Asian Giant Hornet입니다. 굉장히 위험한 곤충으로 알려져 있는 장수말벌은 흔히 알고 있는 말벌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몸길이는 약 30~45mm 정도이며 여왕벌의 경우 50mm가 넘기도 합니다. 이는 거의 성인 손가락 정도의 크기가 됩니다. 크기만큼이나 날갯짓 소리도 상당히 크며 위협적으로 들리기까지 합니다. 우리나라 넘버원 독충으로 유명한 장수말벌은 다른 말벌 종에 비해서도 독침의 길이가 길어 독을 한 번에 주입할 수 있는 양이 많고, 특히 신경독인 '만다라톡신'이 들어 있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특히 위험합니다. 장수말벌이 다른 곤충을 잡아먹고 꿀벌들을 초토화시키는 것이야 자연의 섭리이니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도심 속에 자리를 잡고 우리의 생명에 위협을 준다면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노릇입니다.
도시 환경에 적응한 장수말벌
1. 은신처 및 벌집
- 도시는 장수말벌에게 최적화된 은신처를 제공하고 벌집을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수말벌집은 주택의 처마 아래, 나무 틈새, 놀이터 기둥 사이, 지붕 아래 등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됩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벌집은 꿀벌이 밀랍으로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장수말벌의 집은 나무가 주 재료입니다. 장수말벌 성충은 나무껍질을 떼어 씹은 후 죽처럼 만들어 집을 짓는 데 사용합니다. 도시에 사는 장수말벌의 집은 나무 보다 종이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벽에 붙은 전단지에 장수말벌이 붙어 있는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는데 장수말벌이 종이를 입으로 뜯고 있는 중입니다.
2. 풍부한 먹이
- 장수말벌은 당연히 육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육식은 장수말벌이 유충일 때 즉, 번데기가 되어 성충이 되기 전까지만 합니다. 유충이지만 날카롭고 강력한 턱이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장수말벌 성충은 곤충을 잡아 씹어 경단처럼 만들어 유충에게 먹입니다. 반면 성충은 육식이 아닌 꿀이나 수액이 주된 먹이입니다. 도시에는 환경적 요인으로 장수말벌이 사냥할 수 있는 다양한 곤충들이 서식하기 때문에 자연상 태보다 먹이를 구하기 용이한 환경입니다.
3. 기후 및 온도
- 도시 환경은 자연환경에 비해 기후에 영향을 덜 받고, 온도가 더 높습니다.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건물의 열 흡수성은 비교적 따뜻한 온도에서 더 활발한 활동을 하는 장수말벌에게 최적의 장소입니다.
4. 적응
- 장수말벌은 인간을 두려워하거나 적으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쉽게 말하면 사람은 장수말벌의 관심 대상이 아닙니다. 천적도 아니고 먹잇감도 아니니까 사람들이 많이 사는 곳이라고 해서 싫어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장수말벌의 주된 먹이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유충은 성충이 곤충을 잡아 경단으로 만들어준 것을 먹고 성충은 꿀이나 수액 그리고 유충이 육식을 하고 난 뒤 토해낸 말벌 주스를 먹고 필요한 단백질을 흡수합니다. 흔히 요거트 통이나 남은 음료수에 붙어있는 장수말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장수말벌에게는 수액과도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도시는 장수말벌 무리가 살아가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장수말벌, 지구상에서 가장 크고 인간에게도 위협적인 존재임은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실상은 장수말벌이 집을 짓는 위치가 인간이 활동하는 영역과 가깝기 때문에 위협을 느끼는 것일 뿐 인간을 일부러 공격하지는 않습니다. 5~8월 장수말벌의 개체수가 늘고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입니다.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지 않으면 사람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지만 장수말벌을 발견하면 자극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 두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말벌집을 발견하면 무리하게 제거하려고 하지 마시고 119에 신고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운데 긴팔 입어? 응, 햇빛 알레르기 있어!! (0) | 2023.06.15 |
---|---|
방심하면 발목 날아간다. 당뇨 초기 8가지 내 몸의 경고!! (0) | 2023.06.15 |
'슈퍼푸드 아보카도' 의외의 배신!! (0) | 2023.06.12 |
5명의 미래 학자, 그들의 생각하는 인류의 미래는? (0) | 2023.06.09 |
서큘레이터 vs 선풍기 무슨 차이?(feat. 알고 사자!!) (0) | 2023.06.08 |
댓글